본문 바로가기
회계

회계원리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및 재무제표의 연계관계

by 또솔 2022. 10. 11.
반응형

재무제표는 기업에 관한 재무정보를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하는 핵심적 수단입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 소개한 적이 있지만 재무보고의 목적은 정보이용자에게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무제표는 크게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이렇게 다섯 가지로 구성됩니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일정 시점에서의 재무상태를 보여 주고, 포괄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며, 자본변동표는 일정 기간의 자본변동 내역을 포함하고, 현금흐름표는 일정 기간의 현금흐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주석은 재무제표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세분화된 정보 등을 말합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현금흐름표(Statement of cash flows), 주석, 그리고 개별 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이렇게 네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는 일정기간(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자본(또는 소유주 지분)의 변동내역을 표시하는 재무제표입니다. 자본변동표는 자본의 구성요소인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자본조정의 기초 잔액, 변동사항, 기말 잔액을 일목요연하게 표시함으로써 자본의 각 구성요소가 어떻게 변동하였는지를 보여줍니다.

현금흐름표

전통적으로 기업은 쟈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를 주요 재무제표로 작성하여 왔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포괄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동안의 경영성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들 재무제표는 기업의 현금흐름에 관한 정보는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현금흐름표는 일정기간(회계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유입액과 현금유출액에 대한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재무제표입니다.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각 활동별 현금유입과 사용내역을 제공하는데, 이로써 정보이용자들은 기업의 현금흐름정보뿐만 아니라 미래의 현금 창출 능력과 채무이행능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표의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지금까지 소개한 재무제표는 기본적으로 양적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중요한 정보를 모두 공시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주석은 재무제표에 표시되는 항목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금액의 세부내역, 재무제표에 표시되지 않는 항목에 관한 계량적 또는 비계량적 정보 등을 서술식 혹은 도표 형식으로 기술한 것을 말합니다. 주석은 재무제표 본문 다음에 별지로 첨부되지만, 재무제표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므로 재무제표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재무제표의 연계관계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이에 비해 포괄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의 경영성과를 표시하는 재무제표이고, 현금흐름표는 일정 기간의 현금의 변화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며, 자본변동표는 일정 기간의 자본항목의 변동내역을 설명하는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상태표는 기초와 기말이라는 일정 시점에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적량을 표시하는 반면, 나머지 세 가지 재무제표는 일정기간을 단위로 측정된 자원의 유량을 표시합니다. 이러한 상이한 성격의 네 가지 재무제표는 상호 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재무제표는 각각 일정한 재무항목을 연결고리로 하여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초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자본변동표의 자본 순증가를 가산한 금액이 기말 재무상태표의 자본과 일치합니다. 또한 자본변동표에서 자본 증가의 주요 원천이 되는 순이익(포괄이익)은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자본을 증가시키는 요소인 주주의 추가 출자와 자본을 감소시키는 주주에 대한 배당을 고려하면, 기초 자본과 기말 자본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초 자본+포괄 이익+추가 출자-배당=기말 자본>

개별 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지금까지 소개한 재무제표는 기업이 자신만을 하나의 독립된 경제 실체로 간주하여 작성하는 개별 재무제표입니다. 그런데 기업이 다른 기업을 지배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공시하여야 합니다. K-IFRS는 연결재무제표를 주된 재무제표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연결재무제표는 지배기업이 지배, 종속관계에 있는 모든 기업들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입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주)가 대한서울(주)의 발행주식 중 60%를 취득함으로써 대한서울(주)에 대한 지배력을 획득하고 있다면, 대한민국(주)는 자신의 재무제표와 대한서울(주)의 재무제표를 결합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한 후 이를 주된 재무제표로 외부에 공시하는 것입니다. 연결재무제표는 개별 재무제표와 마찬가지로, 연결재무상태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결 자본변동표, 연결 현금흐름표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으로 구성됩니다. 연결재무제표는 기본적으로 지배기업의 재무제표와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합산한 후에 이들 간의 내부거래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작성됩니다. 따라서 연결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는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자산과 부채 합산액이 표시되며, 자본은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과 종속기업의 비지배지분(지배기업 외 소유주지분)으로 구분 표시됩니다. 또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도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수익과 비용이 각각 합산(내부거래 제거 후) 표시되며, 당기순이익(총 포괄이익)은 각각 지배기업 소유주 귀속분과 비지배지분 귀속분으로 구분 표시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